본문 바로가기

육아 정보

고열과 눈꼽이 가득생기는 아데노 바이러스 이겨내기

반응형

거리두기 해제 후 각종 바이러스가 유행하며 마스크 착용 등으로 바이러스 면역력이 약해졌습니다.

그래서인지 주변에서  유행성 결막염을 동반해 눈곱감기로도 불리는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증이 요즘 유행하고 있습니다. 

40도가 넘는 고열을 호소하기도 하고 입원도 많이 늘었다고 합니다.

제 주변에도 많이 감염되어서 유치원을 일주일정도 안 오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6월부터 계속 환자가 나오더니 가을이 다가오는데도 유행이 사그라들지 않는 것 같습니다.

특히, 6세 이하의 어린아이들에게서 전염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데노 바이러스란?

DNA를 가진 바이러스로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사람에게서 호흡기 감염, 위장관 감염, 결막염, 요로감염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주로 인후통, 발열, 기침, 콧물, 인후염증 증상을 유발하고 특히 어린아이들과 영아들 사이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바이러스 중 하나입니다. 물론 성인도 감염이 됩니다.

 

증상은?

현재는 보통 고열과 , 눈곱이 많이 끼어서 진득하게 붙어있는 결막염 증상을 가장 많이 호소하고 있습니다. 

간혹 위장관에 영향을 미치어 위장염을 일으키기도 하고 방광염등 다양한 질병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어린아이의 경우 모세기관지염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으며 잘못하면 폐렴으로 전이될 수도 있으니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경로는?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 말하기 등으로 침방울이 튀는 비말 감염이나 감염된 사람의 손이나 몸을 통해 바이러스가 직접 전파될 수 있습니다. 감염된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만지면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보통 기관생활을 하다 보니 한 반에 한 명이 걸리면 나이가 어릴수록 절반을 유행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기관을 안 다녀도 놀이터, 물놀이등 다양한 곳에서 옮을 수도 있으니 정확한 감염경로를 얻기는 어렵습니다.

 

아데노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2-14일 정도로 알려져 있고 감염된 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기간이 소요됩니다. 그러나 감염된 사람마다 잠복기가 다를 수 있고 일부사람은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도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크게 정확한 잠복기를 알 수는 없습니다. 

 

아데노 바이러스의 진단?

아데노 바이러스는 혈액검사나 소변검사를 통해 진단을 하게 됩니다. 특이 유전자를 검출하여 진단합니다.

바로 결과가 나오게 되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

아직까지는 직접적인 백신이나 치료제가 따로 없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싀료가 아닌 증상에 대한 대증치료를 진행해야 하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병원에 가서 치료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치료의 경우 며칠간 항생제를 복용하게 되면 호전이 되며, 면역이 약하거나 고열이 약으로 조절되지 않는 어린이의 경우 빠른 회복을 위해 입원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눈곱의 경우는 병원에서 안약사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경우 구토, 설사, 열로 인한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니 수분보충을 충분히 해 탈수를 막아주어야 합니다.

또한 예방적으로든, 치료적으로든 면역력을 높일 수 있도록 휴식과 충분한 수분섭취를 해야 하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데노 바이러스의 치료기간?

감염된 경우 증상이 나타나더라고 약 1주일 내에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니 간혹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 의료 전문가의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기간 동안 가족 간 사용하는 수건, 식기등을 따로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고, 감염되지 않는 영유아가 있는 경우 특히 신경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손 씻기를 통한 청결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 외에도 독감, 수족구등 다양한 질병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마스크 해제로 인해 다양한 곳에서 활동을 하다 보니 원래 감염되었던  병들도 더 많이 퍼지는 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역시나 예방하는 방법은 손을 깨끗이 씻는 방법과 개인의 면역력 증진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잘 자고 잘 먹고 잘 싸고!  모든 아이들이 건강하게 올여름을 이겨 나가기를 소망합니다. 

 

 

 

 

반응형